K-패스 동백 패스 신청 방법 부산시 대중교통 환급
부산시민이 알뜰하게 대중교통 이용하는 방법
부산 시민, 특히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‘K-패스’와 ‘동백패스’를 함께 활용하는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. 두 가지 교통비 환급 제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, 동시에 등록해 사용할 경우 더 높은 환급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교통비를 더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환급 받고 싶다면, 동백패스에 K-패스를 연동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지원대상
만 19세 이상 동백패스 사용자와 K-패스 회원으로 동백전 교통카드를 필수도 등록해야 합니다.
K패스-동백 이용시 혜택
K-패스 동백패스 연계 서비스는 기존 동백패스 혜택에 K-패스를 결합한 서비스로 동백전 교통카드 한 장으로 동백패스와 K-패스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자동 연계 지원합니다.
동백패스는 부산시 대중교통을 월 4만 5천원 이상 이용하면 최대 4만 5천원까지 환급해줍니다. K-패스는 전국 대중 교통을 월 15~60회 이용할 경우, 일반인은 20% 청년(19세~34세)은 30%, 저소득층은 53%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.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대해 동백패스와 K-패스의 환급금을 비교하여 더 많은 금액으로 자동 환급됩니다.
이용방법 및 가입철자
K패스와 동백패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패스의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. 동백전 앱에서 '동백패스 회원가입'을 진행하고,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'K-패스 회원가입'을 완료해야 합니다. 이후 동백전 교통카드를 동륵하면 환급금 지급이 가능합니다.
- 동백패스 이용자 : K-패스 회원가입 → 동백패스 이용중인 카드 등록 → 대중교통 이용
- K-패스 이용자 : 동백전 회원가입 →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→ 동백패스 가입 → K-패스 적용카드 동백전 카드로 변경 → 대중교통 이용
- 동백패스, K-패스 모두 미사용 : 동백전 회원가입 → 동백전 교통카드 발급 → 동백패스 가입 → K-패스 회원가입 및 동백전 카드 등록 → 대중교통 이용
K-패스와 동백패스를 이용하려면 각 서비스에 회원가입을 먼저 해야 합니다. 만약 회원가입 없이 이용한다면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 그리고 삼성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의 경우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동백전 실물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.
K-패스 신청하기
K-패스 카드를 처음 사용하는 신규 가입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카드를 발급 받고 회원가입을 진행해야 합니다.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던 분들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K-패스로 회원 전환을 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카드와 계정을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
K-패스
K-패스 홈페이지
korea-pass.kr
동백패스 신청하기
BC부산은행, BC농협, 하나카드, 부산은행에서 동백전 전용 카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 이후 동백전 앰에서 회원가입을 하시면 됩니다.
부산이즈굿 동백전
동백전은 부산시의 상징화인 '동백꽃'과 화폐를 의미하는 '전'을 합성해 만든 부산 지역화폐입니다.
www.busandong100.kr
월별 대중교통 이용금액을 동백패스와 K-패스의 환급금 계산 방식에 따라 비교한 후, 더 높은 금액을 자동으로 환급합니다. 동백패스 이용금액이 더 많은 달에는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환급되며 대략 다음 달 15일 경에 지급됩니다. K-패스 이용금액이 더 많은 달에는 해당 카드의 결제 계좌로 환급되며, 카드사마다 입금 시기가 다릅니다. 선불형 패스의 경우 충전금으로 환급됩니다.